top of page

C3 KOREA
후암동 세 자매의 집


OPENHOUSE SEOUL 2025
하남 EIDEN 사옥 및 주차타워

월간 SPACE 10월호
CROSS CRITIC With CORE Architects
하남 EIDEN 신사옥 및 주차타워
하남 EIDEN 신사옥 및 주차타워

서울건축포럼 ‘한국건축비평의 회복’, 두 번째 세션(아파랏체 + 아크로마키)
‘서울건축포럼’이 주최하는 ‘한국건축비평의 회복’은 한국 건축의 내실을 다지고, 세계 시장에 알릴 수 있는 건축가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기획된 새로운 비평 프로그램이다. 시각적 이미지에 치우친 기존 건축의 소비 방식의 한계를 넘어, 한국 건축의 본질을 다시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며, 신진 건축가의 발굴과 건강한 비평 문화를 조성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준공잡지 02
하남 에이덴 사옥 준공 brochure


준공잡지 01
후암동 세 자매의 집 준공 brochure

건축문화 2024 NOV
운정2동 행정복지센터 당선작

OPENHOUSE SEOUL 2024
“la maison, je sais jamais.” – 그 집, 나는 몰라요.
임진수(아크로마키 건축사사무소)
임진수(아크로마키 건축사사무소)

EBS 건축탐구 집
이런 집을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 아파트 살던 가족이 파격적인 집을 짓게 된 이유|따로 살고 더 사이가 좋아졌다|한 층에 딱 1명만 살아요|건축탐구 집|#골라듄다큐


전원주택라이프 2024년 5월호
용산 후암동 주택 프로젝트는 흔치 않은 시각을 요하는 프로젝트다. 요즘의 세태와는 역행하는 가족 단위의 집, 분화되는 가족 구성원들의 미래를 대비하는 영속성의 집, 많은 시간 동안 축적된 도시 원형의 날것에서 버텨야 하는 새로운 건축물의 자가적 콘텍스트, 그리고 외부에서 보이는 이미지와 내부에서 보이는 이미지들의 불합치성 등등의 수많은 이질적인 요소가 결합된 집이다.


설계경기
용산시니어클럽 설계공모 당선작


AROUND TRIP
지친 일상을 뒤로하고 다시금 에너지를 충전하고 싶을 때, 우리는 흔히 제주도를 꿈꾸게 됩니다. 그러나 휴양 관광지로 여겨온 ‘섬’만이 가진 제주에는 지난한 역사와 특별한 문화가 천혜의 자연 풍경 뒤에 숨겨져 있습니다.

OPENHOUSE SEOUL 2023
“la maison, je sais jamais.” – 그 집, 나는 몰라요.
임진수(아크로마키 건축사사무소)
임진수(아크로마키 건축사사무소)


브리크매거진
용산 후암동 주택은 특별한 시선으로 접근한 작업이다. 점점 보기 어려운 가족단위의 집, 그리고 가족구성원의 미래를 대비하는 집, 많은 시간동안 축적된 도시의 맥락에 스며든 새로운 건축물, 외부와 내부의 불합치 등 수많은 이해관계를 고려해 완성한 집이다.


설계경기
인천 치유의 숲 산림치유센터 설계공모 당선작


PRODUCT-ION IN SPACE
공간타이프는 건축, 디자인, 조각이라는 다른 분야에서 활동해왔던 작가 3인의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덕트와 공간의 상관관계를 새롭게 바라보는 실험적인 전시를 오는 1월 27일부터 2월 27일까지 개최한다.
bottom of p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