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메인 투시도(오렌지 02, 담장추가)_edited.jpg
​도산공원 복합건물
Public / 2025 / Sinsa-dong, Seoul

competition entry

"Orangerie Do-San"

 

 늦겨울의 추위가 매섭게 기승을 부릴 때 호젓하게 길 한편에 일렬로 늘어선 유리블럭의 실린더는 내부의 따뜻함의 이미지와 함께 계절을 착각하게 한다. 일그러진 잔영이 비치는 유리블럭의 저 쪽은 초록과 오렌지 색으로 치장되어 있고 사람의 움직임이 어스름히 보이기도 한다. 밤에는 또 다른 이미지로 다가오는데 마치 그것은 청담동 쇼윈도의 그것과 다름없다. 전구색을 배경으로 잘게 잘라진 이미지들은 어른거리며 도시의 밤거리에 파편화되어 쏟아져 나온다. 이 따스한 유리온실 속 오렌지 나무 아래서 책을 읽다 보면 긴 홀에서 도산 안창호선생의 발자취를 보고 느끼며 감동을 받고 나오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그들은 이윽고 오랑주리에 다시 모여 도산선생의 숭고한 정신이 이 자유롭고 따뜻한 공간에서 다시 한번 느끼게 될 것이다.

도시적 맥락

 압구정이라는 상업지역의 한복판에 자리 잡은 도산공원은 역사적인 자연공원이 즐비한 강북과 대비되는 강남의 한 공원이다. 하지만 상징성은 주요 왕릉과 더불어 생긴 공원의 그것과 다르다. 격자형 도시계획구조가 도로에 순응하여 이형질적인 패턴을 갖는 것 또한 발견된다. 이러한 도시적 맥락에서 퍼블릭 스페이스로써 작용하는 소공원과 그 공원의 프로그램을 나눠 갖는 공공구조물은 과연 어떤 형태로 그 자리에 앉을 것인가? 또 그것은 genius loci의 발현이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단초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0213 피겨그라운드.jpg

도시경관의 해석학​

 나즈막한 상업빌딩들이 주를 이루는 도시공간과 그 사이에 자리한 자연의 공간은 그 대비점을 어디에 두는 것인지에 따라 경관의 해석지점이 달라진다. 특히 공원 내 공공건축물이 주변환경과 이질적인지, 아니면 맥락에 순응하는지 하는 등의 대비되는 제안에 따라 공원의 위상과 공공건축물의 상관관계가 결정된다. 그리고 이것은 분절로 인식되는 하나의 보이지 않는 구분선으로 해석되며 사이에 낀 공공건축물의 도시적 경관의 양면성을 담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0213 도로현황 녹색죽이기.jpg

​사각의 틀로 보는 각기 다른 풍경들

- 작은 사각의 틀​​

 도로에 면해 반원의 실린더 입면을 꽉 채운 사각의 틀들은 남향의 빛을 받아들여 내부가 비물질의 공간으로 인식을 할 수밖에 없도록 만든다. 이러한 비물질의 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오렌지 나무 세 그루와 그 곁에서 볕을 쬐고 있는 사람들이다. 비물질을 인식하는 객체들과 비물질적 공간 속에서 고고히 색과 그것을 뽐내는 나무들은 도산선생의 과거와도 그리고 현재의 거리와도 관통하는 내재적 속성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 큰 사각의 틀​​

 공원과 마주보는 틀은 도산공원과 안창호선생의 유지들을 목도하는 틀이다. 전면의 사각의 틀이 빛을 받아들이고 내부와 외부의 모호한 소통을 꾀했다면 북측의 이 커다란 틀은 바깥의 풍경을 절편화 하고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시각적인 소통의 창으로 작용한다. 즉물적으로 반응하는 외부 풍경은 내부의 투명한 창을 통해 끊임없이 도산공원의 의의를 상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시와 공원의 그 사이

 ​대비되는 도시적 맥락을 단순하게 절편하는 건축적 단절체는 기능적인 일자형코어로 대치되며 이는 내부의 자연스러운 공간배분과 수직동선을 통한 프로그램 접근의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안한다. 하지만 이 기능의 코어는 조형적인 특성 또한 담고 있으며 도시경관에서 도시와 공원의 또 다른 배경의 벽으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파사드의 이질적인 구분선으로 도산 기념관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준다.

JQ48332_diagram_02.jpg
판타스마고리아 다이어그램 최종종종.jpg

유리블럭으로 만들어진 실린더 형태의 오랑주리는 도시적 맥락과 연계되어 상징성을 나타내었으며 낮과 밤의 대비로 인한 상업 공간과 마주하는 도시의 판타스마고리아를 표현한다.​

입면 다이어그램 최종종종.jpg

 북측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깊이가 얕아지며 이는 외부의 빛에 대한 상부와 하부의 프로그램의 대비되는 특성을 보여주며 넓어지는 틀은 풍경을 받아들이는 중요한 입면요소로 작용한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