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03.png
서울창업허브 구로
Factory / 2025 / Gocheok-dong, Seoul

competition entry

"Ex - Machina"

기계로 만들어진 모든 것들을 위한 공간

 

1. Terrain Vague - 잊힌 빈 땅의 모호함

2. Daeus ex Machina - 새로운 공장의 형식

3. Nostalgia Industry - 새로운 공장의 조형성

Terrain Vague

​잊힌 빈 땅의 모호함

어떤 땅을 몇 십년 동안 점유하던 혐오시설이 하루아침에 사라졌다. 그리고 그 땅은 비워져 펜스로 둘러 쌓여 풍경에서 잊혀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것은 도시풍경의 낯설지 않은 간극의 공간으로 자리한다. 도시민들은 이 간극의 모호한 땅을 무표정하게 지나간다. 하지만 정책결정자들은 세금을 걷어들이고 새로운 도시의 모티브를 꿈꾸며 자신들에게 정치적으로 이익이 되는 프로그램이 들어오길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이 밝혀지자 이를 둘러쌓고 수많은 욕망들이 터져 나온다. Ignasi de Solà-Morales의 말처럼 건축가는 이 모호하게 버려진 낯선 이 땅에 무엇인가를 만들어야 하는 강박이 있다. 사진작가는 땅의 과거를 들춰내지만 건축가는 그것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기능적인, 혹은 조형적인 디자인을 통해 땅을 새로운 식민지로 제공되길 원한다.

버려진 땅.jpg

Deus ex Machina​

​ 새로운 공장의 형식

모든 갈등을 일시에 해소해 주는 신적인 존재는 현재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인간의 삶이 복잡해지고 해야 할 일은 많아지며 이를 대신할 무엇인가가 필요하다. 이런 사회 발전에 발맞추는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무엇인가를 우리는 끊임없이 발명해 낸다. 이러한 발명은 우리의 삶의 작은 부분의 편리함, 즉 귀찮음이라는 내적 갈등을 해소해 줄 것이라 믿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비록 기계가 신적 존재 가치를 가지지 못할지라도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들어 우리를 행복하게 하고 제대로 살아가게 하려면 확실히 저 데우스 엑스 마키나 같은 지위를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순한 지식 산업센터와 스마트 공장이 아니고 학습이 가능한 기계로 만들어진 신과 같은 존재를 사용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무엇인가를 만들어 이 현대사회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공간은 이제 필요하다.

데우스엑스마키나.jpg

Nostalgia Industry

​ 새로운 공장의 조형성

도시 경관에서 저것은 공장이라고 하는 판단의 근거는 공장이 가지고 있는 그 자체의 전형적인 이미지에서 기인한 것이다. 구조, 금속성, 굴뚝, 박공의 연속된 지붕, 등의 이미지가 그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관습적인 이미지는 이제 도시 내에서 사라진지 오래다. 지식산업센터라고 불리는 적층형 공장의 탄생은 도시 경관에서 공장이 갖는 예전의 그 이미지를 탈피하고 오히려 스마트한 오피스빌딩의 이미지로 갈아입었다. 또한 내부의 공간은 어떤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국한된 것이 아니고 다양한 유무형의 제조를 위한 사무공간, 공용공간의 혼합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소음과 매연이 사라진 친환경의 생산공간이 예전의 추억 속 도시 공장의 모습이 복원된다면 또다른 풍경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역사가 사라진 이 땅에 공장을 지어야 한다면 또다른 도시경관을 위해 추억의 공장 이미지를 되살리는 시도를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예전의공장.jpg
02.jpg

Programs

서울 창업허브 구로는 모든 통합되는 개념이 프로그램에 있다. 세 영역의 큰 파트가 수직적으로 적층이 되어 있으며 각 영역에서의 상호교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세 영역을 통합하는 순환의 길이 있으니, 사람의 길과 제품의 길, 설비의 길이 그것이다. 새로운 공장의 특성을 대변하는 다품종 소량생산의 방식은 사람의 길과 항상 결을 같이 하면서 최적의 운반방식을 요구한다. 또한 이러한 순환의 길을 따라 첨단의 설비시설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조 다이어그램-01-01.png

Structure System​

 제한된 대지에 수많은 제품을 생산해야 할 기계들을 설치한다는 것은 상당히 까다로운 작업이다. 각 기계가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이해하고 필요조건을 갖춰야 한다. 특히 그 자중에 대한 해결 방안과 사람의 동선, 그리고 설비 장치의 조합 등은 특별한 구조시스템을 요구한다. 두 거대한 수직의 코어에 매달린 중층의 트러스 구조는 마이크로 팩토리의 확장성과 효용성을 극대화하고 무주공간을 실현하였으며 독립된 구조 상부의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파사드 다이어그램.jpg

Façade System

 새로운 공장의 조형성에 기인한 경사진 유리 파사드 시스템은 그 자체의 형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지식산업센터의 더블 파사드를 구현함에 있어서 순환의 공간을 만들어 내며 소음을 억제하고 공조설비의 순환통로로서 필요한 공간이다. 이와 함께 가능하다면 창고로 쓰이는 지저분한 공간이 아닌 다양한 식생을 고려해 하나의 green layer를 제안한다. 또한 남측과 동측의 경사진 유리 파사드에는 BIPV가 적용되어 친환경자원의 활용과 함께 또다른 입면요소를 구성하는 패턴으로 사용된다.

bottom of page